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 column/경제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이해 인플레이션과 경제의 상관관계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이해  인플레이션과 경제의 상관관계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일까요?

 

경제 뉴스나, 신문을 보면 ( 인플레이션 위기 ) 등등의 이야기가 많은데요. 그래서 인플레이션이란 용어는 익숙하긴 한데, 막상 정확하게 인플레이션 이란 개념에 대해서 설명해보려고 하면 확실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도 경제상식에 대한 공부도 하고, 우연치 않게 제 글을 읽어보시는 분들 에게도 도움이 되실 것 같아, 인플레이션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인플레이션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자면, 통화량의 증가로 인해 통화의 가치는 하락하고 전반적인 상품의 가격이 꾸준하게 상승하는 것 을 말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어떤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까요?

 

(1) 수요에 의한 인플레이션 ( demand - pull inflation ) :  어떠한 상품의 수요는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그 수요에 발 맞추어 공급량이 늘어나지 못해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인플레이션 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너무나 호황이어서 가계에 돈이 많이 들어오게 되고, 그에 따른 소비도 늘어나는데 상품의 공급이 그 소비를 따라가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다른 용어로 과잉 유동성 공급이라고도 합니다.

 

(2)  비용에 의한 인플레이션 ( cost-push inflation) : 상품의 제조 비용이 오름에 의해서 제품의 소비자 가격도 동시에 올라서 전반적인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이 우리 경제에 주는 영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1) 일단 월급을 받는 급여소득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 매달 받는 월급은 큰 상승이 없는데 물가 상승율이 월급 상승율을 초과하게 되면, 사실상 매년 월급이 감소하게 되는것이나 마찬가지인 상황이 됩니다. 그에 따라 급여소득자들의 생활이 빈곤해지고, 자본소득자 들과 급여소득자 사이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확대되게 됩니다.

 

(2) 대출 상환의 경우, 대출금을 갚을 채무자는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되니 빚을 갚기 쉬워지게 됩니다. 채무자의 경우 사회적인 약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사회적 재분배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3)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더 비싼값에 팔아야 되니 수출에도 악영향이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또 국내 공산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이 국내 상품보다 더 저렴한 수입품을 소비하게 되어 내수에 악영향을 끼치고 무역수지 적자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화폐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게 되니, 저축을 해도 시간이 지나도 그 저축한 돈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저축을 하는 것이 손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저축이 줄어들게 되고 은행에 자금이 잘 들어오지 않아, 대출한도가 줄어들게 되어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한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

 

 전반적인 상품의 물가를 내리기 위해서는 화폐의 발행량을 줄여 돈의 가치를 상승시키거나, 상품의 공급량을 늘려서 상품의 가격을 하락시켜야 합니다. 

 

(1) 물가상승의 원인이 특정 산업의 생산이 적기 때문이라면: 그 분야의 상품의 생산을 늘리고 유통구조를 간소화 시켜서 공급을 늘려주면 해결이 됩니다. 

 

(2) 화폐가치의 지나친 하락이 원인이라면: 통화 발행량을 줄이고 재정지출을 축소해서 화폐의 가치를 높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것을 (디플레이션)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